반응형
정말 간단하게 EC2로 웹 서버 구축하는 방법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1. Console에서 구축하는 방법
2. Terraform을 이용한 방법
3. Packer...??
자동화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보고 진행할 계획입니다.
인스턴스 구성
EC2 -> 인스턴스 시작 선택
Aws 계정 로그인 후 EC2 대시보드에서 인스턴스 시작으로 시작합니다.
인스턴스 세부 설정
- 인스턴스 이름 설정
-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AMI 지정
인스턴스 유형, 키 페어
기본적인 테스트를 위해서 t2.micro, t2.medium을 선택해서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웹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를 올리려고 할 때에는 다른 시리즈의 이미지(t, c, m, r, ... 등등)를 사용하면 됩니다.
키 페어는 웹 서버에 SSH 접속 하기위해 생성하는 것이 보안적인 측면에서 좋습니다.
네트워크 설정
기존에 관리하던 보안그룹이 있다면 해당 그룹을 포함하면됩니다.
없으면 새롭게 생성을 진행하고, 특정 IP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합니다.
스토리지 설정
gp2, gp3 중 사용할 볼륨을 지정합니다.
그리고 인스턴스 생성!
몇 분이 지나면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실행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SSH 접속
접속 시 Console, SeesionManager, Terminal 등 다양한 방법 중 편한 방법으로 접속하면 됩니다.
터미널 창에서 Key Pair로 접속하는 방법으로 하겠습니다.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chmod 400 webserver.pem
ssh -i "webserver.pem" ubuntu@ec2-3-x-x-x.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웹 서버 구성
nginx 말고 다른 웹 서버를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nginx -y
# 프로세스 상태 확인
pstree
service nginx status
설치를 진행하고 Public IP 접속하여 확인합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Front - (2) (0) | 2023.08.30 |
---|---|
CloudFront - (1) (0) | 2023.08.29 |
IAM User 만들기 (0) | 2023.08.17 |
EC2로 웹 서버 구축하기 시리즈 - Terraform 편 (0)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