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선착순! 줄을~ 서시오
하트 여왕의 경기에 참여하기 위해 동물 친구들이 하나둘 모여듭니다. 동물들이 도착한 순서대로 줄을 세워 볼까요?
append()를 사용하여 빈 리스트에 동물을 추가해보세요.
A1.
# 빈 리스트 line_up이 있어요
line_up = []
# 거북이, 홍학, 토끼 순으로 도착했어요. 차례로 추가해 보세요
line_up.append('거북이')
line_up.append('홍학')
line_up.append('토끼')
# 줄을 잘 세웠는지 line_up을 출력해 확인해요
print(line_up)
Q2. 새치기의 달인 도도새
경지장에 가장 늦게 도착한 도도새가 슬쩍 새치기를 하려고 하네요. 홍학이 고개를 잠깐 돌린 사이에 어떻게 끼어 들어갔는지 알아볼까요?
insert()를 사용해서 홍학 앞에 도도새를 추가해 보세요.
A2.
# 리스트 line_up에 거북이, 홍학, 토끼 순으로 줄을 서 있어요
line_up = ['거북이', '홍학', '토끼']
# 거북이와 홍학 사이에 도도새를 넣어 봐요
line_up.insert(1, "도도새")
# line_up을 출력해 도도새의 위치를 확인해 봐요
print(line_up)
Q3. 도도새 퇴치하기
도도새의 새치기에 잔뜩 화가 난 홍학의 얼굴이 새빨개졌습니다. 하트 여왕이 심판을 내리는군요. "반칙 금지! 도도새는 퇴장해라!"
하트 여왕의 명령에 따라 remove()를 이용하여 도도새를 쫒아내 볼까요?
A3.
# 리스트 line_up에 거북이, 도도새, 홍학, 토끼 순으로 줄을 서 있어요
line_up = ['거북이', '도도새', '홍학', '토끼']
# 새치기한 도도새를 line_up에서 쫓아내 봐요
line_up.remove('도도새')
# line_up을 출력해 도도새를 잘 쫓아냈는지 확인해 봐요
print(line_up)
Q4. 사전순으로 줄 서기
경기가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변덕이 심한 하트 여왕이 말합니다.
"사전순으로 줄을 서시오"
sort()를 이용하여 동물 친구들을 다시 정렬해 볼까요?
A4.
# 리스트 line_up에 거북이, 홍학, 토끼 순으로 줄을 서 있어요
line_up = ['거북이', '홍학', '토끼']
# line_up을 사전순으로 정렬해 봐요
line_up.sort()
# 잘 정렬되었는지 출력해 보세요
print(line_up)
Q5. 빛나는 보석 찾기 II
보석 마니아 두더지가 돌아왔습니다. 그동안 더 많은 보석을 모았다고 하는데요?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두더지 가방 속에 들어 있는 보석 중에서 가장 비싼 보석과 금빛 보석들을 찾아 보세요.
A5.
# jewel1에 '다이아몬드' 하나를 담아 보세요
bag1 =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다이아몬드', '은']
jewel1 = bag1[-2]
# jewel2에 '금' 9개를 담아 보세요
bag2 =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은', '금', '금', '금', '금', '금', '금', '금', '금', '금']
jewel2 = bag2[13:22]
# 보석을 잘 골라냈는지 확인해 볼까요?
print('두더지 가방 안의 가장 비싼 보석', jewel1)
print('두더지 가방 안의 금빛 보석들', jewel2)
Q6. 시퀀스의 멤버 조회하기
실습을 따라 해 보면서 시퀀스의 멤버를 조회하는 방법을 익혀 봅시다.
# 리스트 ['Apple', 'Banana', 'Chamwae', 'Durian']을 담아 주세요
my_list = ['Apple', 'Banana', 'Chamwae', 'Durian']
# 'Egg'가 my_list에 들어 있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넣어 주세요
my_var = 'Egg' in my_list
print(my_var)
# if 'Egg' in my_list:
# print('Egg는 my_list에 있습니다.')
# else:
# print('Egg는 my_list에 없습니다.')
# my_var.append('Egg')
# print(my_var)
Q7. 시퀀스의 길이 조사하기
시퀀스 자료의 길이를 조사하는 방법을 익혀 봅시다.
A7.
# 문자열 'Impossible'을 담아 주세요
my_str = 'Impossible'
# len을 이용해 my_str의 길이를 넣어 주세요
my_var = len(my_str)
Q8. 삼! 육구, 삼육구! 게임
시퀀스를 연결하고 반복하는 방법을 익혀 보아요.
A8.
# 리스트에 [3, 6, 9]가 담겨 있어요
my_list = [3, 6, 9]
# [3, 6, 9]를 3번 반복한 리스트를 담아 주세요
my_var = my_list * 3
# print(my_var)
Q9. 강화 무기 만들기
코딩별에 '이상한나라M' 게임이 출시되었어요. 이 게임에서는 세 가지 문자열 item1, item2, item3이 주어졌을 때, 이를 이어 붙인 문자열 + '무기' 형태로 강화 무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러분만의 강화 무기를 만들어 보세요.
item1 = '완전 좋고'
item2 = '빛나며'
item3 = '손에 착착 감기는'
# 실행 결과
완전 좋고 빛나며 손에 착착 감기는 무기
A9.
# 엘리스 토끼가 강화 무기에 넣고 싶은 내용을 item1, item2, item3에 적었어요
item1 = '완전 좋고'
item2 = '빛나며'
item3 = '손에 착착 감기는'
# item1, item2, item3을 이어 붙여서 무기를 만들어 보세요
weapon = item1 + ' ' + item2 + ' ' + item3 + ' 무기'
# 만든 무기 weapon을 출력해 확인해요
print(weapon)
Q10. 칙칙폭폭 기차놀이
부산행 기차가 승객을 태우고 출발했습니다. 기차역에 설때마다 사람들이 타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지요. 앞에서 배운 리스트의 활용법으로 차장님을 도와 승객을 태우고 내려주세요.
A10.
# 기차에 승객이 3명 있어요
train = ['성진', '찬경', '준영']
# 서울역: 승객 '주아'를 맨 뒤에 태우세요
train.append('주아')
print('서울역 도착. // ', train)
# 대전역: 1등석 승객 '동빈'을 맨 앞에 태우세요
train.insert(0, '동빈')
print('대전역 도착. // ', train)
# 부산역: 종착역이니 사전순으로 정렬해 주세요
train.sort()
print('부산역 도착. // ', train)
print('오늘도 코딩별 기차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Q11. 열대 과일 장보기
도마뱀 빌이 마트에서 과일을 사고 있어요. 열대 지방에서 온 도마뱀 빌을 위해 remove()로 장바구니에서 '딸기'를 제거해주세요.
딸기는 열대 과일이 아니라서 도마뱀 빌이 싫어하니까요.
단, 조건문과 in 연산자를 사용하여 '딸기'가 장바구니 안에 들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해야 해요.
A11.
# 도마뱀 빌이 장바구니에 담은 과일 리스트입니다
fruits = ['바나나', '딸기', '두리안', '망고']
# '딸기'가 fruits 안에 들어 있다면 지우고, 없다면 메시지를 출력하세요
if '딸기' in fruits:
fruits.remove('딸기')
else:
print('딸기는 fruits 안에 없습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스터디 5장 (0) | 2023.05.21 |
---|---|
Python 스터디 4장 (0) | 2023.05.19 |
Python 스터디 2장 (0) | 2023.05.03 |
Python 스터디 1 ~ 2장 (0) | 2023.04.11 |
Python 스터디 1기 시작! (0)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