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s-Beginner
Published 2023. 5. 21. 00:40
Python 스터디 5장 PYTHON
반응형

Q1. pop과 count

pop()과 count()를 사용해서 주석 아래에 코드를 완성해 보세요.

A1.

# my_list에 리스트 원소가 들어 있어요
my_list = [1, 2, 2, 3, 3, 3]

# my_list 안에 있는 원소 3의 개수를 변수에 저장하세요
var = my_list.count(3)

# my_list가 [1, 2, 3]이 되도록 소괄호 안에 숫자를 입력해 원소 2와 3을 지워 주세요
my_list.pop(1)
my_list.pop(2)
my_list.pop(3)

Q2. 붙이기의 달인

리스트 자료를 붙여서 문자열로 만드는 연습을 해 보세요.

A2.

# 리스트 ['Seeing', 'is', 'Believing']을 변수에 저장하세요
my_list =['Seeing', 'is', 'Believing']

# my_list의 원소를 공백('')을 접착 문자열로 붙여서 var에 담아 주세요
var = ' '.join(my_list)
print(var)

Q3. 노래 가사 분석하기

우리 민요 '군밤 타령'의 가사가 쉼표로 구분된 문자열로 주어졌어요. 17번째 가사가 무엇인지 출력해 보세요.

A3.

# 우리 민요 '군밤 타령'의 가사
lyrics = '바람이,분다,바람이,불어,연평,바다에,어허어얼싸,돈바람,분다,얼싸,좋네,아,좋네,군밤이요,에헤라,생률,밤이로구나,달도,밝다,달도,밝아,우주,강산에,어허어얼싸,저,달이,밝아,얼싸,좋네,아,좋네,군밤이요,에헤라,생률,밤이로구나'

# 쉼표(,)를 기준으로 쪼개어 리스트로 만들고 변수에 저장해 주세요
lyrics_list = lyrics.split(',')

# 17번째 가사를 인덱싱해 출력해 보세요
print(lyrics_list.pop(16))

Q4. 튜블 만들기

다음 실습을 통해 튜블과 친해져 보세요.

A4.

# 1, 2, 3, 4, 5를 튜플 자료형으로 저장해 보세요
my_tuple = (1, 2, 3, 4, 5)

# my_tuple을 인덱싱해 인덱스 2의 원소를 담아 보세요
var1 = my_tuple[2]

# my_tuple을 슬라이싱하여 원소 1, 2, 3을 담아 보세요
var2 = my_tuple[0:3]

# my_tuple의 길이를 담아 보세요
var3 = len(my_tuple)

Q5. 과일 사전 만들기

과일 이름의 영한사전을 만들면서 딕셔너리 자료형을 연습해보세요.

A5.

# '사과'와 'apple', '바나나’와 'banana', '당근'과 'carrot'을 짝을 지어 넣어 주세요
my_dict = {'사과':'apple', '바나나':'banana', '당근':'carrot'}

# 사과를 영어로 뭐라고 하는지 my_dict에서 찾아 저장해요
my_var = my_dict['사과']

# 당근은 싫어요! my_dict에서 당근-carrot을 찾아 삭제하세요
del my_dict['당근']

# 체리는 좋아요! my_dict에 체리-cherry를 추가해요
my_dict['체리'] = 'cherry'

Q6. 딕셔너리의 Key

리스트는 딕셔너리의 Key로 사용할 수 없지만 튜플은 가능하죠. Key가 리스트일 때와 튜플일 떄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해 보세요.

my_dict = {1:'숫자형', 'a':'문자열'}

# my_dict에 다음 짝꿍을 추가하고 <실행>을 클릭해 보세요
# [1, 2, 3] → '리스트'
# my_dict[[1, 2, 3]] = '리스트' 

# 05번 줄에 작성한 코드를 지우세요
# 이번엔 다음 짝꿍을 추가하고 <실행>을 클릭해 보세요
# (1, 2, 3) → '튜플'
my_dict[(1, 2, 3)] = '튜플'
# 딕셔너리를 출력해 보세요. 어떤 결과가 나오나요?
print(my_dict)

Q7. 제주 방언 사전 만들기

제주도로 휴가를 떠났습니다. 여행하는 사람을 위해 제주 방언 사전을 만들어 보세요.

A7.

jeju_word = ['혼저 옵서', '지꺼지게', '놀당 갑서양']

# Key = 제주 방언, Value = 표준어인 딕셔너리를 만들어 주세요
jeju_dict = {'혼저 옵서':'어서오세요','지꺼지게':'즐겁게','놀당 갑서양':'놀다 가세요'}

# jeju_word에 담긴 제주 방언의 표준어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반복문을 완성하세요
for i in jeju_word:
    print(jeju_dict[i])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스터디 2기 시작!  (0) 2023.06.02
Python 스터디 6장  (0) 2023.05.28
Python 스터디 4장  (0) 2023.05.19
Python 스터디 3장  (0) 2023.05.18
Python 스터디 2장  (0) 2023.05.03
profile

Ops-Beginner

@asher_r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